Code refactoring의 어려운 점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다.
하지만, 그 문제의 복잡성 측면에서 보면, 작은 규모의 refactoring - file 혹은 class 단위 변경 - 은, 대규모 - 특히 코드의 구조 혹은 설계를 바꾸는 정도 - refactoring 에 비할 바가 못된다.
legacy 코드의 구조가 한계에 부딫혀, 재설계->재구현 을 고민할 정도의 상황을 가정해 보자.
이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은 아마도 "SW 재작성" vs "대규모 refactoring"일 것이다.
그리고, 어떠한 이유에서든, "refactoring"을 하기로 결정한 상황이라면 어떨까?
(실제, SW를 처음부터 새로 작성하는 것에 대한 Risk는 많이 언급되어 지고 있다.)
필자의 경험에 따르면,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 refactoring의 단위를 적당히 작은 단계(step)로 분류하고,
- 각 step에서는 그 목적에 해당하는 refactoring만 수행
하는 것이다.
정말로 간단하고, 쉬워보이지 않는가?
하지만, 이게 정말 쉽지 않다.
Refactoring을 주제로 하는 많은 이야기들은, '좋은 구조', 'refactoring 시점' 등등 기술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막상 필자가 실제로 heavy하게 사용되고 있는 SW를 refactoring하는 경험을 해보니, 정작 문제는 앞서 언급했던 두 가지에 있었다.
보통, 대규모 refactoring은 아래의 단계를 거쳐서 진행될 것이다.
- 현재 SW의 문제점 논의
- Refactoring의 범위 결정
- 새로운 SW구조에 대한 설계 철학 공유
- SW의 최종 형태 공유.
- 각 주제별로 refactring 시작.
하지만, 이런식의 진행은 'legacy SW의 상태'와 '최종 SW의 상태' 사이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끝이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많은 양의 변화를 한꺼번에 진행하면, refactoring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찾아내기 너무 힘들어서, 결국 refactoring 코드를 버리거나, 아니면 SW 재작성에 버금가는(혹은 그 이상의) 노력이 들어가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이런 내용들을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잘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어떨까?
예를 들어, class간의 관계를 재 설정하는 refactoring진행 중, code의 context와 맞지 않는 변수 이름을 발견했다면? 혹은 code style이 잘못된 곳을 발견했다면?
대부분의 경우, 아주 작은 수정이므로, 겸사겸사 같이 수정하면서 진행할 것이다.
이것은, 마치 "거실 바닥 정리"라는 과정 중 "벽에 작은 얼룩을 발견"한 경우,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잠깐 시간내어서 얼룩을 지우는 것과 같다.
혹은, SW의 "Feature creep"과도 일맥상통해 보인다.
이런 식의 작은 side-refactoring들이 모여서, 한 step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결국 해당 step을 포기하고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refactroing을 계획할 때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그 단계를 잘게 나누어야 한다.
물론, 각 단계별로, "새로운 구조" + "legacy 구조" 의 형태를 지켜 내기 위한 overhead가 필요하므로, 너무 잘게 분리할 경우, 이 overhead 비용이 너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Essay >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say] 조직 논리, 그리고 코드 fork(중복) (0) | 2017.12.28 |
---|---|
[Essay] <기술적>으로 뛰어난 사람이 상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 (0) | 2017.12.28 |
Builder pattern의 유용한 용법 - Constructor overroding 줄이기. (0) | 2016.06.03 |
새로운 업무를 할당 받을때 혹은 할당해 줄때 업무 목적/내용 공유/확인 하는 방법. (0) | 2015.06.24 |
인사평가를 대비한, 인사고과 분배를 위해 필요한 선조치. (0) | 2014.12.15 |